메타마스크에 zkSync Era 네트워크 추가가 먼저예요
zkSync Era에서 토큰을 전송하려면 먼저 지갑에 네트워크를 추가해야 해요. 메타마스크 기준으로 설명하면, 설정에서 네트워크 추가를 선택하고 zkSync Era 정보를 입력해요. 네트워크 이름은 'zkSync Era Mainnet', RPC URL은 'https://mainnet.era.zksync.io', 체인 ID는 '324', 통화 기호는 'ETH'를 입력하면 돼요.
네트워크 추가 후에는 반드시 zkSync Era로 전환했는지 확인해요. 상단에 표시된 네트워크명이 zkSync Era인지 체크하는 게 기본이에요. 이더리움 메인넷 상태에서 전송하면 가스비가 비싸니까 꼭 확인해야 해요.
지갑 주소도 미리 준비해둬요. zkSync Era는 이더리움과 동일한 주소 체계를 사용하니까 기존 이더리움 주소를 그대로 쓸 수 있어요. 다만 받는 사람도 zkSync Era 네트워크를 추가했는지 물어보는 게 좋아요.
브릿징 없이는 zkSync Era에서 토큰 전송이 불가능해요
이더리움 메인넷에 있는 토큰을 zkSync Era로 옮기려면 브릿징이 필수예요. portal.zksync.io/bridge 공식 사이트에 접속해서 지갑을 연결해요. 유사 사이트가 많아 공식 채널에서 링크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해요.
브릿징할 토큰과 수량을 선택하고 'Deposit'을 클릭해요. 이때 가스비는 이더리움 메인넷 기준으로 책정되니까 ETH 잔액을 충분히 준비해야 해요. 보통 0.01~0.03 ETH 정도 필요한데, 네트워크가 막히면 더 비싸질 수 있어요.
승인 트랜잭션과 실제 브릿징 트랜잭션, 두 번의 거래 승인이 필요해요. 첫 번째는 토큰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거고, 두 번째가 실제 브릿징이에요. 5~15분 정도 기다리면 zkSync Era 지갑에서 토큰을 확인할 수 있어요.
브릿징 상태는 explorer.zksync.io에서 트랜잭션 해시로 검색하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해요. 'Processed' 상태가 되면 성공적으로 완료된 거예요.
zkSync Era 내에서 지갑 간 전송은 정말 간단해요
브릿징이 완료되면 zkSync Era 네트워크 내에서는 빠르고 저렴하게 토큰을 전송할 수 있어요. 메타마스크에서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고 받는 사람 주소를 입력해요. 주소는 반드시 두 번, 세 번 확인하는 게 좋아요. 한 글자라도 틀리면 토큰을 영원히 잃게 될 위험이 있어요.
전송할 토큰 종류와 수량을 정해요. zkSync Era는 이더리움과 달리 수수료가 0.001 ETH 미만이라 부담이 없어요. 그래도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예상 수수료를 확인하고 진행해요.
'다음' 버튼을 누르면 거래 내용을 최종 확인하는 화면이 나와요. 받는 주소, 토큰 수량, 예상 수수료를 다시 한번 체크해요. 문제없으면 '확인'을 클릭해서 전송을 완료해요. 보통 2~10초 안에 처리되는데, 가끔 네트워크가 바쁘면 1분 정도 걸릴 수도 있어요.
전송 후에는 반드시 트랜잭션이 성공했는지 확인해요. 메타마스크 활동 탭에서 방금 전송한 거래를 클릭하면 상세 정보를 볼 수 있어요. 'Success' 표시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완료된 거예요.
토큰이 안 보일 때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해결해요
zkSync Era로 토큰을 전송했는데 지갑에 안 보이는 경우가 있어요. 대부분 토큰 컨트랙트 주소를 수동으로 추가하면 해결돼요. 메타마스크 하단의 '토큰 가져오기'를 클릭하고 해당 토큰의 컨트랙트 주소를 입력해요.
토큰 컨트랙트 주소는 explorer.zksync.io에서 토큰명을 검색하면 찾을 수 있어요. 복사해서 붙여넣기하면 토큰 심볼과 소수점 자리수가 자동으로 입력돼요. '사용자 정의 토큰 추가'를 클릭하면 지갑에 토큰이 표시돼요.
가끔 네트워크 동기화 문제로 잔액이 업데이트되지 않을 때도 있어요. 이럴 땐 메타마스크를 완전히 종료했다가 다시 실행하거나, 브라우저 캐시를 삭제하면 대부분 해결돼요. 그래도 안 되면 다른 브라우저나 모바일 앱에서 확인해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RPC 노드 문제일 수도 있어요. zkSync Era 네트워크 설정에서 RPC URL을 다른 공개 노드로 변경해보세요. 'https://zksync2-mainnet.zksync.io'나 'https://mainnet.era.zksync.io' 중에서 안 쓰던 걸로 바꿔보면 연결 상태가 개선될 수 있어요.
전송 실패했을 때 복구하는 현실적인 방법들
트랜잭션이 실패하면 먼저 실패 원인을 파악해야 해요. explorer.zksync.io에서 트랜잭션 해시를 검색하면 'Failed' 상태와 함께 에러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어요. 가스비 부족, 잔액 부족, 컨트랙트 오류 등 원인이 다양해요.
가스비가 부족해서 실패한 경우는 ETH를 더 입금하고 재시도하면 돼요. zkSync Era는 가스비가 저렴하지만 그래도 최소한의 ETH는 필요해요. 0.001 ETH 정도는 항상 유지하는 게 좋아요.
네트워크 혼잡으로 인한 타임아웃이면 시간을 두고 재시도해요. zkSync 공식 트위터나 디스코드에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요. 점검이나 업그레이드 중이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해요.
잘못된 주소로 전송한 경우는 블록체인 특성상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신중한 확인이 필요해요. 그래서 전송 전에 소액으로 테스트하는 습관이 중요해요. 0.001 ETH 같은 작은 금액으로 먼저 보내보고, 정상적으로 도착하면 본 금액을 전송하는 게 안전해요.
스마트 컨트랙트 상호작용 중 실패했다면 좀 더 복잡해요. DeFi 프로토콜이나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발생한 상황은 해당 서비스 지원팀에 문의해야 해요. 트랜잭션 해시와 에러 메시지를 첨부하면 빠른 해결에 도움이 돼요.
zkSync Era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사용 중 예상과 다른 상황이 발생할 경우 커뮤니티 및 공식 채널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어요. Reddit의 r/zkSync나 공식 디스코드에서 다양한 사용자들의 경험을 참고하면 도움이 돼요.
본 글은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 기술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투자, 매수, 매도를 포함한 어떠한 금융적 의사결정에 대한 권유나 조언이 아니며, 글의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일 뿐 법적·재정적 자문을 대신하지 않습니다.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는 본인의 책임하에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