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이 2025년 12월 3일에 적용할 푸사카(Fusaka) 업그레이드는 레이어2 네트워크의 트랜잭션 처리량을 최대 8배까지 늘려주는 대규모 기술 개선이에요. 이번 업그레이드의 핵심은 PeerDAS라는 새로운 데이터 검증 방식과 블롭 데이터 용량 확대, 그리고 블록 가스 한도를 5배로 늘리는 것이에요. 이를 통해 레이어2 롤업들이 훨씬 더 많은 거래를 처리하면서도 비용은 30~50%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거예요.
PeerDAS가 만드는 혁신적인 데이터 처리 방식
PeerDAS(Peer Data Availability Sampling)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데이터 처리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기술이에요. 쉽게 말해 도서관에서 백과사전 전체를 다 읽지 않고도 필요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과 비슷해요.
기존에는 이더리움 노드들이 모든 블롭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저장해야 했어요. 블롭(blob)은 레이어2가 메인넷에 올리는 대용량 데이터 뭉치인데요, 마치 택배 상자같은 거예요. PeerDAS를 통해 각 노드는 전체 데이터의 1/8만 다운로드하면서도 전체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게 되었어요.
이게 가능한 이유는 이레이저 코딩(Erasure Coding)이라는 기술 때문이에요. 퍼즐을 생각해보면, 전체 조각 중 절반만 있어도 전체 그림이 뭔지 알 수 있듯이, 노드가 전체 열(columns)의 50% 이상을 확보하면 전체 데이터 매트릭스를 재구성할 수 있어요. 각 노드는 랜덤하게 할당된 8개의 열을 관리하고, 필요시 다른 노드들과 데이터를 공유해요.
블롭 데이터 용량 확대와 가스 한도 상향의 실질적 효과
푸사카 업그레이드의 핵심 변화 중 하나는 블롭 데이터 용량 확대예요. 12월 17일과 2026년 1월 7일에 걸쳐 단계적으로 블롭 용량이 두 배 이상 증가할 예정이에요. 현재 블록당 평균 5.1개의 블롭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게 6개에서 시작해 15개, 21개로 늘어나고, 궁극적으로는 48개까지 확대될 수 있어요.
가스 한도 상향도 큰 변화예요. 블록 가스 한도가 3천만에서 1억 5천만으로 증가하여 블록당 더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게 되어요. 이건 고속도로 차선을 5배로 넓히는 것과 같아요. 더 많은 차가 동시에 지나갈 수 있게 되는 거예요
.
특별한 점은 BPO(Blob Parameter Only) 포크라는 방식을 사용한다는 거예요. BPO 포크는 전체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없이 블롭 관련 파라미터만 변경하는 가벼운 포크예요. 클라이언트 업데이트가 필요 없어서 네트워크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용량을 늘릴 수 있어요.
레이어2 프로젝트들이 준비해야 할 기술적 대응
레이어2 프로젝트들은 푸사카 업그레이드에 맞춰 여러 기술적 변경을 해야 해요. 가장 중요한 건 PeerDAS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코드를 수정하는 거예요. 기존에는 모든 데이터를 한 번에 올렸다면, 이제는 데이터를 128개의 열로 나누어 처리하는 새로운 방식에 적응해야 해요.
트랜잭션 풀 래퍼가 수정되어 cell_proofs라는 새로운 증명 방식이 도입되었어요. 이건 각 데이터 조각의 무결성을 증명하는 방식인데, 레이어2들은 이 새로운 증명 형식에 맞춰 트랜잭션을 패키징해야 해요. 확실히 복잡하지만, 한 번 구현하면 가스 비용이 크게 줄어들어요.
스마트컨트랙트 개발자들에게는 좋은 소식도 있어요. 스마트컨트랙트 코드 사이즈 제한이 24KB에서 48KB로 두 배 증가해요. 더 복잡한 로직을 하나의 컨트랙트에 담을 수 있게 되는 거죠. 또한 CLZ(Count Leading Zeros)라는 새로운 옵코드가 추가되어 비트 연산이 더 효율적이 되어요.
보안 검증과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 방안
보안은 푸사카 업그레이드의 최우선 과제예요. 이더리움 재단은 4주간 200만 달러 규모의 보안 감사 대회를 진행하고 있어요. 첫 주에 발견된 취약점은 2배, 둘째 주는 1.5배의 포인트를 받아요. 이런 인센티브 구조는 조기에 문제를 발견하려는 전략이에요.
테스트넷 검증도 철저히 진행돼요. 10월 1일 홀스키, 10월 14일 세폴리아, 10월 28일 후디 테스트넷을 거쳐 메인넷에 적용되는데요, 이는 실제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충분한 검증을 거치는 거예요. 마치 신약이 임상시험을 거치는 것처럼 말이죠.
PeerDAS의 보안성도 중요해요. PeerDAS의 보안성이 ARSDH 가정 하에서 표준 모델로 증명되었어요. 이는 암호학적으로 안전하다는 의미예요. 각 노드가 일부 데이터만 가지고 있어도, 네트워크 전체적으로는 매우 높은 확률로 모든 데이터가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장해요.
스팸 방지 메커니즘도 강화됐어요. EIP-7825는 악의적 트랜잭션 스팸을 방지하여 높은 수요 상황에서도 노드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해요. 또한 EIP-7823과 EIP-7883은 서비스 거부(DoS) 공격에 대한 방어력을 높여요.
실제 사용자와 디파이 생태계에 미칠 영향
푸사카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일반 사용자들은 몇 가지 눈에 띄는 변화를 경험하게 되어요. 우선 가스비가 크게 줄어들어요. 레이어2를 이용한 거래 비용이 30~5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어떤 경우는 최대 73%까지 줄어들 수 있어요. 100달러 송금에 5달러씩 내던 수수료가 2달러로 줄어드는 셈이에요.
거래 처리 속도도 빨라져요. 사용자 작업 처리량(UOPS)이 초당 220개에서 3,500개로 증가해요. 이는 네트워크가 16배 더 많은 거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는 의미예요. 디파이 앱을 사용할 때 체감 속도가 확연히 달라질 거예요.
디파이 프로토콜들은 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돼요. 컨트랙트 크기 제한이 두 배로 늘어나면서, 기존에는 여러 컨트랙트로 나눠서 작성해야 했던 로직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어요. 이는 가스 비용을 줄이고 실행 속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어요.
NFT 마켓플레이스나 게임 디앱들도 혜택을 받아요. 대용량 메타데이터를 더 저렴하게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더 풍부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요. 특히 온체인 게임들은 더 많은 게임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직접 저장할 수 있게 돼요.
크로스체인 브릿지와 상호운용성도 개선돼요. EIP-7951이 도입하는 secp256r1 커브 지원으로 웹2 시스템과의 통합이 쉬워져요. 이는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지갑과의 연동이 더 원활해진다는 의미예요.
이더리움 푸사카 업그레이드는 단순한 기술 개선이 아니라 레이어2 생태계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중대한 변화예요. PeerDAS를 통한 혁신적인 데이터 처리 방식과 대폭 확대된 처리 용량은 이더리움이 진정한 월드 컴퓨터로 발전하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거예요. 12월 3일, 블록체인 역사에 새로운 장이 열리는 순간을 우리는 목격하게 될 거예요.
Disclaimer: 본 글은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 기술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투자, 매수, 매도를 포함한 어떠한 금융적 의사결정에 대한 권유나 조언이 아니며, 글의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일 뿐 법적·재정적 자문을 대신하지 않습니다.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는 본인의 책임하에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