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2가 이더리움을 돕지 않는다? 갤럭시디지털의 수익 편중 구조 분석

갤럭시디지털의 연구 총괄 알렉스 손이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들의 수익 구조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제기했어요. 쉽게 말해서 L2들이 사용자한테 받은 수수료의 대부분을 자체 보유하고 이더리움 본체에는 소수만 환원한다는 거예요. 이게 왜 문제냐면, 결국 이더리움을 가진 사람들은 충분한 경제적 혜택을 받지 못하는 구조라는 거죠.


파란색 네온 효과의 3D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조물이 서로 연결된 모습


L2가 대체 뭐길래 수수료 수익이 편중되나요?


이더리움 레이어2는 쉽게 말해 이더리움의 보조 도로예요. 본래 이더리움 도로가 너무 막히고 통행료가 비싸니까, 옆에 새로운 길을 만든 거죠. 문제는 이 보조 도로 운영자들이 받은 통행료 대부분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거예요.


실제 숫자를 보면 더 명확해요. L2 네트워크들이 하루에 거둬들이는 수수료가 10만에서 40만 달러, 우리 돈으로 1억 3천만 원에서 5억 2천만 원 정도예요. 근데 이 중에서 이더리움 메인넷에 납부하는 비용은 전체 수익 대비 매우 적은 비중이에요.


대부분의 L2는 특정 회사나 단체가 운영하고 있어요. 탈중앙화를 추구하는 블록체인 세계에서 사실상 중앙화된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는 거죠. 게다가 이렇게 모은 이더리움을 다시 네트워크에 스테이킹하는 비율도 낮아요. 대부분의 수익이 L2 운영 주체에 귀속되는 거예요.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요?


L2가 높은 수수료 수익을 확보하는 방식은 생각보다 복잡해요. 사용자가 거래할 때마다 여러 종류의 수수료를 부과하는데, 가스비 외에도 운영비, 관리비 같은 추가 요소들이 포함돼요.


네트워크가 혼잡하면 수수료를 올리고, 한가하면 내리는 식으로 조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내는 수수료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요. 말하자면 톨게이트 통행료에 관리비, 운영비, 상황별 할증까지 더해지는 구조예요.


더 큰 문제는 이런 수익 구조가 이더리움 전체 생태계의 균형을 해친다는 거예요. 이더리움 메인넷은 데이터 저장과 거래 정산만 담당하고, 실제 수수료 수익은 L2들이 대부분 가져가니까 메인넷의 경제적 활력이 저하되는 거죠. 이게 계속되면 이더리움 가격과 네트워크 가치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비탈릭 부테린도 나섰어요


이더리움 공동 창립자인 비탈릭 부테린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요. 그는 L2들이 수익의 일정 부분을 메인넷에 환원하도록 하는 여러 메커니즘을 제안했어요.


예를 들어 수수료 소각이나 영구 스테이킹 같은 방법으로 ETH 보유자들에게 경제적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자는 거예요. 또 L2 간 상호운용성을 높여서 특정 L2가 시장을 독점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어요.


수수료 구조 자체를 개편하자는 의견도 나왔어요. 다차원 수수료 시장을 만들어서 자원별로 따로 수수료를 매기고, 이를 통합 관리하는 방식이에요. 복잡해 보이지만 결국 L2와 L1 간 수익 배분을 더 균형 있게 만들자는 거예요.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이더리움 생태계 내부 갈등은 단순히 돈 문제만은 아니에요. 탈중앙화라는 블록체인의 핵심 가치와 현실적인 수익 구조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과정이에요.


솔라나나 수이 같은 경쟁 블록체인들이 성장하는 상황에서 이더리움이 내부 구조 개선에 시간이 걸리면 시장 점유율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어요. 그래서 이더리움 재단과 커뮤니티가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는 거예요.


일부에서는 L2 수익의 일정 비율을 의무적으로 메인넷에 환원하도록 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어요. 반면 시장 원리에 따른 자율적 개선을 주장하는 의견도 있어요. 어느 쪽이든 현재의 비균형적 수익 구조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는 대부분 동의하고 있어요.


갤럭시디지털이 제기한 이 문제는 단순한 비판을 넘어서 이더리움 생태계의 공정성 문제를 제시한 셈이에요. DeFi나 L2 기술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이런 구조적 문제가 어떻게 개선되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어요. 왜냐하면 이게 결국 이더리움과 ETH 가격의 장기적 가치를 좌우할 수 있거든요.


본 글은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 기술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투자, 매수, 매도를 포함한 어떠한 금융적 의사결정에 대한 권유나 조언이 아니며, 글의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일 뿐 법적·재정적 자문을 대신하지 않습니다.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는 본인의 책임하에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zkSync Era에서 토큰 전송 막힌다면? 지갑 간 안전하게 보내는 실전 가이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