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미아(Chromia) 블록체인이 데이터베이스를 품은 이유 그리고 숨겨진 리스크

크로미아는 기존 블록체인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블록체인에 직접 통합한 독특한 플랫폼이에요. 쉽게 말해서, 엑셀 같은 데이터 정리 기능을 블록체인에 넣었다고 보면 돼요. 이게 왜 중요한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차근차근 살펴볼게요.


분홍색과 검은색으로 구성된 크로미아 블록체인 플랫폼의 공식 로고


블록체인인데 SQL을 쓴다고요?


일반적인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단순히 블록에 쌓아두는 방식이에요. 반면 크로미아는 PostgreSQL 기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요. 이게 뭐가 다른지 예를 들어볼게요.


기존 블록체인에서 게임 아이템 정보를 찾으려면 모든 블록을 뒤져야 해요. 하지만 크로미아에서는 "레벨 50 이상 검 아이템 조회" 같은 복잡한 검색이 바로 가능해요. 마치 구글에서 검색하듯이 말이죠.


개발자들은 Rell이라는 언어를 사용하는데, 이건 SQL과 비슷해서 기존 데이터베이스 경험이 있는 개발자라면 쉽게 적응할 수 있어요.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부터 배울 필요가 없다는 거죠.


각자 놀면서도 함께하는 독특한 구조


크로미아의 가장 큰 특징은 클러스터 아키텍처예요. 쉽게 설명하면, 각 앱이 자기만의 독립된 공간(앱체인)을 갖는 거예요.


  • 게임 A가 갑자기 인기가 폭발해도 게임 B는 영향받지 않아요
  • 각 앱이 필요한 만큼만 자원을 사용해요
  • 문제가 생겨도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되지 않아요


이런 구조 덕분에 이더리움처럼 네트워크 전체가 막히는 일이 거의 없어요. 특히 대규모 게임이나 NFT 프로젝트에서 이런 장점이 크게 부각돼요.


가스비 없이 쓸 수 있다는 건 정말일까요?


크로미아의 또 다른 매력은 사용자가 가스비를 직접 내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에요. 대신 앱 운영자가 리소스를 임대하는 방식을 써요.


예를 들어 게임을 하는데 매번 수수료를 내야 한다면 짜증나겠죠? 크로미아에서는 게임 회사가 이 비용을 대신 처리해줘요. 사용자 입장에서는 일반 앱처럼 편하게 쓸 수 있는 거예요.


싱글사인온(SSO) 지원도 큰 장점이에요. 한 번 로그인하면 여러 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요. 매번 복잡한 지갑 주소를 입력할 필요가 없죠.


하지만 완벽한 기술은 없어요


크로미아도 몇 가지 중요한 리스크가 있어요. 첫째로 중앙화 문제예요. 각 앱체인이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신뢰할 수 있는 소수의 Validator 노드에 의존하는 구조예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보다 탈중앙화 수준이 낮다는 지적이 나와요.


보안 취약점도 발견됐어요. 외부 보안 감사에서 브릿지 기능의 토큰 중복 출금 가능성, 접근 제어 미흡 등이 지적됐어요. 대부분 수정됐다고 하지만, 완전한 보안은 어려운 게 현실이에요.


기술적 복잡성도 문제예요. 앱체인 간 데이터 동기화가 복잡하고, 앱체인이 늘어날수록 관리 부담이 커져요. 특히 여러 체인을 동시에 활용하는 대형 서비스에서는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어요.


실제로 어디에 쓰이고 있을까요?


크로미아는 특히 게임과 NFT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어요. 복잡한 게임 아이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대규모 사용자도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거든요.


DeFi나 AI 데이터 인프라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높아요. 복잡한 금융 데이터나 대용량 AI 학습 데이터를 블록체인상에서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아직은 이더리움이나 솔라나 같은 메이저 체인에 비해 생태계가 작아요. CHR 토큰의 가격 변동성도 크고, 실제 사용 사례도 제한적이에요.


크로미아는 분명 혁신적인 기술이에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블록체인의 결합은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줘요. 하지만 중앙화 리스크, 보안 문제, 기술적 복잡성 등은 계속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에요.


투자를 고려한다면 이런 리스크를 충분히 이해하고 접근해야 해요. 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실제 채택과 생태계 성장이 없으면 의미가 없으니까요. 크로미아가 과연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주류 블록체인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할 것 같아요.


본 글은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 기술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투자, 매수, 매도를 포함한 어떠한 금융적 의사결정에 대한 권유나 조언이 아니며, 글의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일 뿐 법적·재정적 자문을 대신하지 않습니다.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는 본인의 책임하에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퍼블릭 vs 프라이빗 블록체인,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