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2 전송 실습, 지갑 주소만 있으면 수수료 0원으로 하는 방법

L2 블록체인에서 수수료 걱정 없이 전송을 실습하려면 테스트넷과 무료 Faucet을 활용하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이에요. 실제 돈을 쓰지 않고도 블록체인 전송의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어요. 메타마스크 지갑 주소 하나만 있으면 바로 시작할 수 있고, 복잡한 과정도 없어요.


메타마스크와 L2 테스트넷 전송 과정을 시각화한 디지털 일러스트


메타마스크로 시작하는 L2 지갑 설정


메타마스크는 크롬이나 파이어폭스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으로 설치할 수 있어요. 설치 후 '새 지갑 만들기'를 선택하고 비밀번호를 설정해요. 이때 나오는 12개 단어로 된 복구 구문은 어디엔가 꼭 적어두세요. 나중에 지갑을 복구할 때 반드시 필요해요.


메타마스크 기본 설정은 이더리움 메인넷으로 되어 있어요. 여기서 네트워크를 추가해야 L2 테스트넷을 사용할 수 있어요. 설정 메뉴에서 '네트워크' 항목을 찾아 '네트워크 추가'를 클릭해요.


zkSync Era 테스트넷을 추가하려면:

  • 네트워크 이름: zkSync Era Sepolia
  • RPC URL: https://sepolia.era.zksync.dev
  • 체인 ID: 300
  • 통화 기호: ETH
  • 블록 탐색기: https://sepolia.explorer.zksync.io

Optimism 테스트넷 설정:

  • 네트워크 이름: OP Sepolia
  • RPC URL: https://sepolia.optimism.io
  • 체인 ID: 11155420
  • 통화 기호: ETH
  • 블록 탐색기: https://sepolia-optimism.etherscan.io

이렇게 네트워크를 추가하면 메타마스크에서 바로 테스트넷으로 전환할 수 있어요. 혹시나 실수로 메인넷과 헷갈릴 수 있으니 항상 네트워크 이름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무료 테스트 토큰 받는 Faucet 활용법


테스트넷에서 사용할 무료 토큰을 받으려면 Faucet 서비스를 이용해야 해요. 2025년 기준으로 가장 안정적인 Faucet 몇 가지를 소개할게요.


QuickNode Faucet은 가장 많이 쓰이는 서비스예요. zkSync, Optimism, Base 등 다양한 L2 테스트넷을 지원해요. 메인넷에 0.001 ETH 이상 보유하고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는 조건이 있어요. 12시간마다 한 번씩 토큰을 받을 수 있어요.


Alchemy Faucet은 가입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어요. Sepolia ETH를 72시간마다 0.1개씩 받을 수 있고, 이걸 L2 테스트넷으로 브릿징해서 사용하면 돼요. 초보자한테 가장 추천하는 서비스예요.


Chainstack Faucet은 별다른 조건 없이 매일 토큰을 받을 수 있어요. API도 제공해서 개발자들이 자동화 테스트를 할 때도 유용해요.


Faucet 사용 순서:

  1. Faucet 웹사이트 접속
  2. 메타마스크 연결 또는 지갑 주소 입력
  3. 원하는 테스트넷 선택
  4. 토큰 요청 버튼 클릭
  5. 5~10분 정도 기다리면 지갑에 토큰 도착

가끔 트래픽이 많아서 토큰이 늦게 도착할 수도 있어요. 테스트넷 익스플로러에서 트랜잭션 상태를 확인하면서 기다리면 돼요.


zkSync Era 테스트넷에서 첫 전송 실습


zkSync Era는 zkRollup 기술을 사용하는 L2라서 거의 실시간으로 트랜잭션이 처리돼요. 테스트넷에서는 완전 무료로 모든 기능을 체험할 수 있어요.


먼저 Sepolia ETH를 받아야 해요. Alchemy나 QuickNode Faucet에서 Sepolia ETH를 받은 다음, zkSync 공식 브릿지(portal.zksync.io)를 통해 zkSync Era 테스트넷으로 이동시켜요. 브릿징은 보통 5분 정도 걸려요.


zkSync Era 테스트넷에 토큰이 도착하면:

  • 메타마스크에서 zkSync Era 네트워크로 전환
  • 받는 사람 지갑 주소 입력 (본인 다른 지갑이나 친구 지갑)
  • 전송할 금액 입력
  • 가스비 확인 (테스트넷이라 0원 또는 극소량)
  • 전송 버튼 클릭

전송이 완료되면 zkSync Era 익스플로러에서 트랜잭션 해시를 검색해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요. 실제 메인넷과 똑같은 인터페이스라서 실전 연습하기 딱 좋아요.


Optimism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체험하기


Optimism 테스트넷은 이더리움과 완전히 호환되는 EVM 환경이에요. DEX나 NFT 마켓플레이스 같은 dApp들도 테스트넷 버전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요.


Mute.io 같은 테스트넷 DEX를 이용하면:

  • 토큰 스왑 기능 체험
  • 유동성 공급 실습
  • LP 토큰 스테이킹 경험

이 모든 과정이 수수료 없이 가능해요. 실제로는 극소량의 테스트 토큰이 가스비로 소비되지만, 어차피 무료로 받은 테스트 토큰이라 부담이 전혀 없어요.


SyncSwap이나 Velocore 같은 프로토콜도 테스트넷을 지원해요. 다양한 DeFi 기능을 직접 써보면서 L2의 속도와 효율성을 체감할 수 있어요.


실습할 때 놓치기 쉬운 보안 포인트


테스트넷이라고 보안을 소홀히 하면 안 돼요. 개인 키나 복구 구문은 절대 온라인에 공유하지 마세요. 테스트넷 지갑이라도 나중에 메인넷에서 같은 주소를 사용할 수도 있거든요.


피싱 사이트 주의사항:

  • 항상 공식 URL인지 확인
  • 구글 검색보다는 북마크 이용
  • 메타마스크 연결 시 도메인 재확인
  • 의심스러운 토큰 승인 요청 거절

테스트넷과 메인넷을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요. 메타마스크에서 네트워크 이름 옆에 색깔로 구분해두면 실수를 줄일 수 있어요. 테스트넷은 초록색, 메인넷은 빨간색 이런 식으로 설정하는 거예요.


브릿지 사용할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해요. 공식 브릿지만 사용하고, 트랜잭션 상세 내용을 꼭 확인한 후에 승인하세요. 테스트넷이니까 실수해도 큰 손해는 없지만,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해요.


Base와 Scroll 같은 신규 L2도 체험 가능


Coinbase가 만든 Base나 Scroll 같은 새로운 L2들도 활발한 테스트넷을 운영하고 있어요. 각각의 특징이 다르니 여러 개를 써보면서 비교해보는 것도 좋아요.


Base Sepolia 테스트넷:

  • Coinbase 계정 연동으로 더 쉬운 온보딩
  • Superchain Faucet에서 매일 0.1 ETH 제공
  • 소셜 로그인 지원으로 초보자 친화적

Scroll 테스트넷:

  • zkEVM 기술로 더 빠른 처리 속도
  • 이더리움과 100% 호환
  • 개발자 도구 지원 우수

각 L2마다 고유한 특징과 장점이 있어요. 테스트넷에서 충분히 실습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L2를 선택하면 돼요.


L2 전송 실습은 블록체인을 배우는 가장 실용적인 방법이에요. 수수료 부담 없이 마음껏 실험해볼 수 있고, 실수해도 아무런 손해가 없어요. 테스트넷 Faucet을 활용하면 하루에도 여러 번 전송 연습을 할 수 있어요. 메타마스크 지갑 주소 하나만 있으면 지금 바로 시작할 수 있으니, 망설이지 말고 한번 해보세요.



본 글은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 기술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투자, 매수, 매도를 포함한 어떠한 금융적 의사결정에 대한 권유나 조언이 아니며, 글의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일 뿐 법적·재정적 자문을 대신하지 않습니다.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는 본인의 책임하에 신중히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Web3 DApp 개발 가이드: 블록체인과 프론트엔드 연결하기